지식공유

전도금

ironjune 2024. 4. 1. 21:07
728x90
반응형

전도금 [ advanced money , 前渡金 ]

회사의 사업장이 여러 개 있을 때 사업장의 운영을 위해 본사에서 사업장에 보내주는 경비.
한 회사의 사업장이 여러 개 있을 경우, 사업장의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본사에서 보내주는 경비를 통틀어 일컫는다. 곧, 본사와 지사·영업소·대리점·사무소·공사현장 등이 따로 있어서 본사에서 사업장의 운영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보낸 돈으로, 이때 사용하는 계정을 전도금계정이라고 한다.

본사와 현장이 떨어져 있어 물리적 제약으로 인해 본사의 통제가 어려울 경우에 이용된다. 유동자산으로서 당좌자산에 속하며, 발생은 차변(借邊)에, 감소는 대변(貸邊)에 기록한다.

사업장 월간경비 선지급금과 부서별 월간경비 선지급금 등이 여기에 속한다. 

예를 들어 사업장의 인건비와 노임, 기계장비 수선비, 공공요금, 소모용품비, 통신비, 잡비 등이 모두 전도금에 해당한다. 보통 사업장의 장이 취급 책임을 맡으며, 사업장마다 전도금 원장, 현금출납부, 예금 원장 등을 비치해야 한다.

전도금계정으로 잡아서 비용을 정산한 뒤에는 다시 본사로 보내 회계처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사업장별로 잔액을 정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전도금을 개인적으로 사용할 경우, 회사나 개인 모두에게 많은 세금 부담이 생기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도금 [advanced money, 前渡金]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본사와 여러개의 지점을 가진 회사가 지점의 운영을 위해 본사에서 일정한 금액을 미리 보내는 것을 가리켜 전도금이라고 한다. 전도금을 받은 지점은 지출을 한 뒤 회계처리를 위해 그에 관련한 증빙서류를 다시 본점에 보내게 된다. 본사는 증빙을 체크한 뒤 전도금보다 사용금액이 많은 경우 초과분의 전도금을 더 지급하게 된다.

[기획재정부 시사경제용어사전]

https://www.moef.go.kr/sisa/dictionary/detail?idx=2196

 

[시사경제용어사전] 전도금

본사와 여러개의 지점을 가진 회사가 지점의 운영을 위해 본사에서 일정한 금액을 미리 보내는 것을 가리켜 전도금이라고 한다. 전도금을 받은 지점은 지출을 한 뒤 회계처리를 위해 그에 관련

www.moef.go.kr

 

- 본사에서 현장으로 100만원이 지급시  차변 전도금 100만원  대변 보통예금 100만원

- 현장에서 이중 80만원을 직원식대로 지출한 경우 차변 복리후생비 80만원 대변 전도금 80만원으로 처리합니다.
- 문제는 이 중에서 20만원에 대하여는 지출되었으나 증빙이 없고 사용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전도금은 가지급금으로 정산됩니다.

728x90
반응형